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네이버 챗GPT, 서치GPT

by 이슈서치 2023. 4. 5.
반응형

서치-GPT-챗-GPT

챗GPT

챗GPT가 출시 이후 IT 뉴스 기사가 챗GPT 관련 기사로 도배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챗GPT는 MAU(월간 활성사용자) 1억을 단 2개월만에 넘겼는데, 인스타그램이 30개월, 틱톡이 9개월 걸린 것과 비교하면 매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은 확실합니다.

 

그만큼 챗GPT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면서, 국내 회사들 역시 챗GPT와 같은 생성AI 기술 연구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입니다. 대표적으로 네이버에서는 매년 개최하는 개발 컨퍼런스 데뷰 2023에서 올해 상반기 내에 공개를 목표로 하는 서치GPT를 소개했습니다.

 

오로라 프로젝트

네이버는 챗GPT가 공개되기 전, 작년 9월부터 오로라 프로젝트 시작했습니다. 오로라 프로젝트란, AI-based Universal Robust Ranking&Answering의 약자로, 네이버 사용자들의 다양해진 검색 패턴을 AI로 분석하여 웹사이트 검색을 개선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여기서 사용자들이 다양한 패턴으로 검색을 한다는 것의 의미는 복잡하고 특정되지 않은 형태의 자유로운 검색어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기존의 검색 시스템이 검색어에 포함된 내용만 결과로 띄워줬다면, 오로라 프로젝트를 통해 AI 기술인 뉴럴 매칭을 통해 유의어나 동의어 검색 결과를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치GPT 챗GPT 차이

이처럼 네이버는 AI 연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데뷰 2023에서 발표한 서치GPT는 네이버의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를 네이버 검색에 특화하여 검색 결과를 고도화한 서비스입니다.

 

현재 챗GPT는 할로시네이션, 즉 잘못된 결과를 대답하거나 없던 일을 만들어서 있는 일처럼 결과를 내보이는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네이버 서치GPT는 이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색 엔진과 연결, 다양한 출처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것으로 보입니다.

 

또, 챗GPT는 현재 텍스트로 된 정보들만 입출력이 가능하지만 네이버의 서치 GPT는 멀티모달을 지원하여 이미지와 사운드 등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서치GPT 활용 예시

서치GPT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신뢰할 수 있는 결과입니다. 챗GPT의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서치GPT의 활용도가 매우 높아질 것입니다.

 

서치GPT의 활용 예를 들자면, '성수동의 사진 잘 나오는 감성 카페'라고 검색하면 다소 복잡한 질문일 수 있지만, 네이버 플레이스와 블로그 문서를 참조하여 해당 정보를 보여 준다고 합니다. 특히 국내에서 개발되는 서비스인 만큼 국내 사용자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겠습니다.

 

이처럼 서치GPT는 음악, 웹툰 등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해 더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반응형

댓글